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 여성의 연령대별 뷰티교육 참여의사와 콘텐츠 선호도 분석

이용수 3

영문명
An Analysis of Beauty Education Content Preferences Among Adult Women by Age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박혜선(Hyesun Park)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22권 제2호, 241~25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뷰티교육 참여의사와 교육 콘텐츠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여성 3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χ²), 분산분석(ANOVA), 독립표본 t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뷰티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비율은 24.3%로 낮았으나, 향후 참여의사는 70.0%로 높게 나타나 교육 수요의 잠재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에 따른 콘텐츠 선호에서는 피부관리, 화장품, 메이크업 과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30대 응답자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수업 시간은 전 연령대에서 ‘1-2시간’이 가장 선호되었고, 총 참여 횟수는 연령이 낮을수록 장기 교육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뷰티교육 참여의사가 있는 집단은 모든 주제에서 유의하게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으며, 피부관리 과목을 선호하는 응답자는 참여의사가 1.6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여성의 뷰티교육 수요가 연령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며, 교육 참여 경험과 관심 분야가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뷰티교육 프로그램은 연령대별 특성과 과거 교육 경험, 선호 콘텐츠를 고려한 맞춤형 구성과 함께, 피부관리에 관심이 높은 집단을 중심으로 한 전략적 기획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beauty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and content preferences among adult women by age group,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83 adult wome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s, ANOVA,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while only 24.3% of the respondents had prior experience with beauty education, 70.0% expresse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future programs, indicating a high level of latent dem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ontent preferences by age, particularly in skincare, cosmetics, and makeup, with women in their 30s showing the highest preference. Across all age groups, a session duration of 1–2 hours was most preferred, and younger participants tended to favor longer-term programs. Furthermore, those with a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beauty education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scores across all content areas. In particular, respondents who preferred skincare courses were 1.69 times more likely to express willingness to particip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auty education demand among adult women varies by age and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rior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interest in specific subjects. Therefore, future beau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with tailored content that reflects age-specific needs, past learning experiences, and content preferences, with a strategic focus on those highly interested in skincar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자료와 분석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선(Hyesun Park). (2025).성인 여성의 연령대별 뷰티교육 참여의사와 콘텐츠 선호도 분석. 유라시아연구, 22 (2), 241-256

MLA

박혜선(Hyesun Park). "성인 여성의 연령대별 뷰티교육 참여의사와 콘텐츠 선호도 분석." 유라시아연구, 22.2(2025): 241-25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