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phor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Childhood Outdoor Pla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지순(Ji-Sun Baek) 김영숙(Young-Suk Kim) 신은경(Eun-Kyung Sh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265~28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유년시절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P시와 G시 지역에 소재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134명을 대상으로 은유표현 질문지를작성한 후 수집하여 범주화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유년시절 바깥놀이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은유표현은 총 98개 표현과 8개 주제로 분류되었고, ‘경험하며 성장하는 시간’, ‘감정을 일깨우는 시간’, ‘기억으로 남는 시간’, ‘놀이와 놀이터로 떠오르는 시간’의 4가지로 범주화되었다. 은유표현을 분석한 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년시절 바깥놀이가 경험하며 성장하는 시간이며,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년시절 바깥놀이가 긍정적인 감정을 일깨워주었던 소중한 시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바깥놀이가 추억과 같이 좋은 기억뿐만 아니라 지겨움과 짧게 끝나버린 자유처럼 부정적인 기억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소수 있었다. 넷째, 유년시절 바깥놀이는 영유아들에게 놀이의 종류로 기억되거나 호기심을 해소하고, 자연 속에서 에너지를 발산하며, 친구들과의 새로운 세상을 열어갈 수 있는 공간인 놀이터의 개념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결론 유년시절 바깥놀이에 대한 은유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기억에서 바깥놀이가 의미하는 중요성과 가치를 확인하고, 이를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outdoor play during childhood through metaphor analysis.
Methods For this purpose, a metaphor expression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13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t community colleges lo cated in City P and City G. The collected responses were categorized,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Results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outdoor play during childhood were classified into 98 expressions and 8 themes, which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 Time for Growth Through Experience,” “A Time for Awakening Emotions,” “A Time That Remains in Memory,” and “A Time Associated with Play and Playgrounds.” The analysis of these metaphorical expressions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hildhood outdoor play as a time for growth through experi ence and recognized it as an essential factor in development. Second, they regarded childhood outdoor play as a valuable time that evoked positive emotions. Third, while mo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sociated outdoor play with positive memories, a few perceived it as a negative experience, recalling feelings of boredom or the frustration of playtime ending too soon. Fourth, childhood outdoor play was remembered by young children as a type of play, a way to satisfy curiosity, an opportunity to release energy in nature, and as a playground—an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explore new worlds with friend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importance and value of outdoor play in the mem or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metaphor analysis. Th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ncorporating outdoor play into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