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gital Literacy Educati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민주(Min-Ju Lee) 하요상(Yo-Sang H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0호, 756~771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 나타나는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을 이해하고, 유아 교사의 지원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광역시 소재 유아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면담을 진행하며 관찰일지를 작성하였다. 이후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의 경험을 분석하고 본질을 탐구하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Moustakas(1994)의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 교사들은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을 실시하며 유아 및 교사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행 과정에서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오류 등 기술적 문제와 인력 부족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이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요구로는 충분한 인력 및 안정적인 인프라 환경 조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연수, 유아 발달에 적합한 활동 지도서 및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적합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정책 변화가 확산되어야 할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다는 교육적 가치와 더 나은 교육을 위한 지원요소를 파악했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o meaningful educational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o examine their support need, there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early childgood digital literacy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Metropolitan City. During the interviews, observation journals were also kept.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individual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the essence of these experiences was explored us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llowing the procedures outlined by Moustakas(1994).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grated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into their teaching, which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children and teachers. However, they faced challenges such as unstable internet connections, application errors, and a shortage of personnel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Second, to effectively implement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identified several necessary support measures, including securing sufficient personnel, establishing a stable infrastructure, providing systematic and intensive training on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offering activity guides and programs suitable for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ed the need to foster a broader social consensus on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of early childhood digital literacy education, along with policy changes to support its expans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s the educational valu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fostering positive learning outcomes for young children. It also provides insights into the specific challenge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face when implement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