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Narrative-Based Group Language Intervention on Spoken Narrative Skills of Preschoolers who are Deaf and Hard-of-Hearing in One-to-one and Public Speaking Interaction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영주(Youngjoo Lee) 이영미(Youngmee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949~9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개인의 경험과 생각을 표현하는 이야기 산출 능력은 청각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 및 학업 성취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에 필요한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해 내러티브 기반의 집단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성을 청각장애 아동의 경험 이야기 산출 능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만 5-6세 청각장애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기반의 집단 언어중재를 6개월 동안 격주로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초등 1학년 교과서에서 선정한 주제로 각 회기마다 이야기 산출 목표를 점진적으로 확대, 확장해갔고, 이 과정의 촉진 매개체로 이미지 카드를 사용하도록 개발되었다. 중재 효과 검증을 위해, 일대일 및 발표 상황에서의 경험 이야기 산출 과제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으며, 아동이 산출한이야기의 C-unit, 구문복잡성, 어휘, mazes 비율을분석하였다. 결과: 내러티브 기반의 집단 언어중재 후, 청각장애 아동의 이야기에서의 총 C-unit 수와 다른 낱말 수가 일대일 상황과 발표 상황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 내러티브 기반의 집단언어중재 프로그램은 일대일 및 발표 상황에서 청각장애 아동의 경험 이야기 산출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는 청각장애아동의 특성과 발달 수준에 맞는 언어중재가 다양한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집단 언어중재 형태로 학교 상황을 구조화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narrative-based language intervention (NBLI) is a viable approach for enhancing the narrative skills of children who are deaf and hard of hearing (DHH).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NBLI in enhancing productivity, lexical and grammatical processing, and reducing the use of mazes in the spoken narratives of children with DHH. Methods: Ten children aged 5 to 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children attended twelve 50-minute sessions of NBLI group therapy. Storytelling skills of children were elicited using carefully selected picture prompts designed to evoke specific narrative elements. The efficacy of the NBLI program was assessed using a pretest-posttest design, focusing on both one-to-one and public speaking interactions.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 total number of C-units and the diversity of words in the spoken narratives of children, both in one-on-one interactions and public speaking contexts, underscoring the effectiveness of NBLI across various communication settings. Conclusion: Improvements in spoken narrative skills in one-to-one and public speaking interactions were observed in children with DHH,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NBLI for this popula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language interventions that are specifically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with DHH, as they significantly improve spoken narrative skills across diverse communication context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