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지성(Ji-Sung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938~94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갑상선 절제술 후 증후군(Post-Thyroidectomy Syndrome, PTS)은 갑상선 절제술 후 신경학적 손상 없이 나타나는 음성문제를 지칭한다. 본 연구는 PTS의 음성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Voice therapy method of PTS (VT-PTS)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VT-PTS는 PTS의 음도문제가 후두-기관 고착이라는 주요한 원인을 전제로 고안된 치료법이다. 방법: 연구의 대상자는 남성 2명, 여성 10명 총 12명이다. 대상자 선정은 이비인후과 두경부 전문의로부터 PTS로 진단받고, 언어재활사에 의해 음성치료가권고되며 주관적인 음도문제를 호소하는 대상자 중 무작위로 선정되었다. VT-PTS는 언어재활사에 의한 직접 음성 치료(VT-1)와 가정내 자가 훈련(VT-2)으로 구성되었다. 음성 평가는 음향 분석(F0, jitter, shimmer, NHR, 최대 음역, 최소 음역, 음역 범위)과 주관적 음성평가(K-VHI-10, K-VFI, TVQ)를 실시하였다. 음성측정은 갑상선 절제술 후 약 2주 후인 VT-1수행 전과 수행 직후, VT-2 수행 후 실시하였다. 결과: VT-PTS 수행에 따른 대상자의 음성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F0 (p=.014), 최대 음역(p<.001), 음역 범위(p<.001)가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본페로니 보정(α=.0167)에 의해 jitter (p=.046), shimmer (p=.017)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K-VHI-10 (p=.003), K-VFI (p=.014), TVQ (p=.002) 점수는 VT-2 이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논의 및 결론: VT-PTS는 객관적 및 주관적 음성평가 모두에서 개선을 나타내며 PTS의 음성개선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특히, PTS의 주요한 음성문제인 음도문제개선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PTS를 치료하는 언어 재활사가 참고할 수 있는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비대면 음성 치료와 수술 후 자가 연습을 위한 앱 개발이 필요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Voice Therapy for Post-Thyroidectomy Syndrome (VT-PTS). The primary cause of PTS is the impairment of vertical movement in the larynx due to adhesion of the infrahyoid muscles or laryngeal-tracheal structure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2 participants (2 males and 10 females) diagnosed with PTS by a laryngologist. All participants reported subjective voice problems and were recommended for voice therapy by a speech-language pathologis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study. The VT-PTS program consisted of VT-1 (direct voice therapy conducted by a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VT-2 (self-practice at home). Voice assessments included acoustic analyses (F0, jitter, shimmer, NHR, maximum pitch, minimum pitch, and pitch range) and subjective voice evaluations (K-VHI-10, K-VFI, and TVQ). Results: Acoustic analyses indicated significant increases in F0 (p= .014), maximum pitch (p< .001), and pitch range (p< .001) following VT-1 and VT-2. According to the Bonferroni correction, jitter (p= .046) and shimmer (p= .017)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The K-VHI-10 (p= .003), K-VFI (p= .014), and TVQ (p= .002)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decreases after VT-2. Conclusion: VT-P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voice evaluations, demonstrating its effectiveness in addressing voice problems in PTS. Notably, it was highly effective in addressing pitch-related problems, which are the primary voice problems in PTS. This study is valuable as it provides evidence-based support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n treating PTS in clinical fields. Future research should try non-face-to-face voice therapy and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to support post-surgical self-practice.
목차
METHODS
RESULTS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