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 맞춤형 수업’의 의미 탐색: 2015·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458

영문명
Exploring the meaning of ‘Personalized Learning’: Centr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원님(Wonnim Lee) 김현욱(Hyunwook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999~101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1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학생 맞춤형 수업’의 의미를 탐색한다. 방법 맞춤형 수업과 관련된 용어간의 차이를 전제로 분석기준(목표, 대상/주체, 맞춤 요소, 실행 방법)을 선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설명하는 학생 맞춤형 수업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학생 맞춤형 수업이 차별화 교육(DI:Differentiated Learning)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교육내용, 과정, 학습 결과물의 다양화를 지향하는 수업 설계 방안이라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학생 맞춤형 수업은 개인별 맞춤형 교육(PL: Personalized Learning)의 개념이었다. 광의의 개념에서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수업(personalization for learner)을 지향하며 보편적 학습 설계 및 교육공동체·지역사회 유관 기관과의 연계 등을 통한 학습자 맞춤형 교육과정 체제 구축을 강조하였고, 협의의 개념에서 학습자에 의한 맞춤형 수업(personalization by learner)의 의미로 학생 주도성 및 지능정보 기술의 활용, 사회·문화적 개인차가 다양한 모든 학생의 성공적인 학습을 지향하였다. 결론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학생 맞춤형 수업은 형평성, 포용성, 학생 주도성, 다양성의 성격에 따라 모든 학생의 성장을 지향하고, 학습자 맞춤형 교육과정 체제 구축을 전제로 하며, 학생-기반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그리고 지능정보 기술의 사용을 통해 교수·학습의 개인화를 지향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학교 현장의 인식 및 실태, 수업 모형 등의 지원을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Personalized Learning” as propos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Metho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erms related to Personalized Learning, analytical criteria were established (purpose, target & subject, tailored elements, implementation methods). These criteria were then applied to analyze the meaning of Personalized Learning as describ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Results Personalized Learning propos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differentiated instruction (DI), focusing on design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diversification of content, processes, and learning outcomes. In contras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esents the concept of personalized learning (PL). From a broad perspective, it emphasizes personalization for learner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system throug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collaboration with educational communities, and partnerships with local institutions. From a narrower perspective, it highlights personalization by learners, focusing on student agency, the us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successful learning of all students, considering their diverse socio-cultur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Conclusions Personalized Learn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ims to promote the growth of all students, emphasizing equity, inclusivity, student agency, and diversity. It is based on establishing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system, organizing and operating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and advancing the person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us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These findings indicate a paradigm shift, necessitating further research to support awareness, practices, and instructional models in schoo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학생 맞춤형 수업’의 이해
Ⅲ.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학생 맞춤형 수업’의 의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교육학연구
  • 교육과정연구
  • 공익과 인권
  • 교육심리연구
  • 한국초등교육
  • 한국어문교육
  • 통합교육연구
  • 초등교육학연구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학술대회 논문집
  • 초등교육연구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Lifelong Learning (JITLL)
  • Systematic Review
  •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 Roper Review
  •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원님(Wonnim Lee),김현욱(Hyunwook Kim). (2025).‘학생 맞춤형 수업’의 의미 탐색: 2015·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3), 999-1018

MLA

이원님(Wonnim Lee),김현욱(Hyunwook Kim). "‘학생 맞춤형 수업’의 의미 탐색: 2015·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3(2025): 999-101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