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and Positive Peer-relationship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현정(Hyun-Jung Hwang) 임나경(Na-Kyoung Lim) 김지은(Jee-Eu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775~7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경계선 지능 아동의 자기표현과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에 긍정적 변화로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Y 대안학교에 재학 중으로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아동 10명중 지속적으로 참여 가능한 4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2023년 8월 23일부터 12월 18일까지 주 1회 90분, 총 16회기로 두 명의 연구자가 치료사로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자료는 기관 담임교사의 보고 및 사전 면담자료, 치료사의 회기평가 및 관찰일지, 사전·사후 동적 학교생활화(KSD) 그림 검사를 수집하였으며 두 연구자가 질적으로 분석하고 수퍼비전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이를 통한 결과는 첫째, 회기별 진행 과정에서 자기이해 및 표현의 변화와 집단원 간 긍정적 상호작용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단계별 변화에서 또래관계에 대한 태도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셋째, 사전·사후 KSD 그림검사에서 또래관계와 학교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경계선지능 아동의 자기표현과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에 있어 ‘따로 또 같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t Y Alternative School in Seoul, targeting 10 children identified as showing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mong them, 4 participants who consistently attended therapy sessions were selected.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over 16 sessions, once a week for 90 minutes, from August 23, 2023, to December 18, 2023.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led by two therapists, including the principal researcher. The sessions involved discussions with the teachers and parents of the participants, art therapy activities, and observational records.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interpretation.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gram facilitated changes in emotional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peer interactions during the therapy process. Moreover, the children displayed positive shifts in attitudes towards self-expression and relationships with peers. The study identified noticeable progress in their ability to buil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enhanced self-expression capabilities.
Conclusions The finding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fostering positive developmental experiences in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forms of therapeutic programs tailored to the needs of this pop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초등교육연구
-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예술심리치료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예술심리치료연구
-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예술심리치료연구
- 미술치료연구
- 충청북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예술심리치료연구
-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미술치료연구
-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 미술치료연구
- 정서⋅행동장애연구
- 특수교육연구
- 현실치료연구
- 정서⋅행동장애연구
- 미술치료연구
- 조형교육
- 임상미술심리연구
- 한국아동복지학
- 미술치료연구
- 한국장애인복지학
- 미술치료연구
- 아동복지연구
- 미술치료연구
- 한국초등교육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