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gital Competency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Specialized Practice Courses Curriculum: Focusing on Health and Welfare Career Clust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정(Soo-Jeo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호, 179~1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전문 교과 중 보건·복지 전문 교과(군) 전공 일반 과목(17개 과목)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역량의 현황을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건·복지 교과(군) 교육과정 항목(1. 성격 및 목표,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3. 교수·학습, 4 평가)에 반영된 디지털 역량 관련 반영 정도를 EU-JRC(2022)에서 발표한 DigComp 2.2 Framwork를 준거로 하여 교육과정 매핑(curriculum mappong, CCM) 방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 교육과정 항목별로 디지털 역량이 반영된 반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2022 개정 전문 교과 중 보건·복지 교과(군)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역량은 ‘2. 의사소통 및 협업’ 이 26.7%로 가장 높았고, ‘1. 정보 및 데이터 리터러시’(22.0%), ‘3. 디지털 콘텐츠 제작’(18.7%), ‘5. 문제해결’ 역량(18.3%)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 안전’(14.4%)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관련된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결론 향후 예비 직업인들이 보건·복지 분야의 디지털화된 직업 환경에 적응하고 관련된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학습 환경 구축 관련 연구 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general major (17 subjects) curriculum among the 2022 revised health & welfare specialized subject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degree of reflection related to digital competency reflected in the health and welfare subject (group) curriculum items (1. personality and goals, 2.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3. teaching and learning, 4 evaluation) was analyzed using the curriculum mapping (CCM) method based on the DigComp 2.2 Framwork announced by the EU-JRC (2022). And the actual reflection cases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method.
Results Among the 2022 revised health and welfare specialized courses, “2.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as the highest at 26.7%, followed by “1. Information and data literacy” (22.0%), “3. Digital content creation” (18.7%), and “5. Problem solving” (18.3%). And “4. Safety” (14.4%) was the lowest, so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related contents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nclusions In order for prospective professionals to adapt to the digitalized work environment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and implement the digital capabilities necessary to perform related job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that can improve teachers' digital capabilities and research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