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감독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심리적 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13
- 영문명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mothers' monitoring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Proble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보금로(Jin Lu Bao) 장영은(Young Eun Ch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465~4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감독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문제를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 4차(2014), 5차(2015), 6차(2016)년도 조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1,217명의 다문화 청소년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어머니의 감독, 사회적 지지, 심리적 문제,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다문화 청소년이 중1일 때에 지각한 어머니의 감독과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중2일 때의 심리적 문제 수준이 낮아졌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이 중1일 때 어머니의 감독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중3일 때의 학교적응 수준이 증가하였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이 중2일 때의 심리적 문제가 심각할수록 중3일 때의 학교적응 수준이 낮아졌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문제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그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녀가 중1일 때 어머니의 감독과 사회적 지지는 중3일 때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중2일 때의 심리적 문제를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감독과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심리적 문제의 매개효과 규명 외에도 시간에 따른 변수 간 인과관계 및 발전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족의 발달을 돕고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 수준 감소 및 학교적응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analyze how mothers' monitoring and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affect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mediation of psychological problems.
Method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4th (2014), 5th (2015), and 6th (2016) wave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involving 1,217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ir foreign moth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monitoring,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were analyzed longitudinally using SPSS and AMOS through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higher levels of mothers' monitoring and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1st grade of middle school,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problems in 2nd grade. Second,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mothers' monitoring and social support in 1st grade showed improved school adjustment by 3rd grade. Third, the more severe the psychological problems in 2nd grade, the lower the school adjustment level in 3rd grade.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problems was verified. Over time, mothers' monitoring and social support in 1st grade 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in 3rd grade and indirectly through psychological problems in 2nd grade.
Conclusions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mothers' monitoring and social support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psychological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It also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problems and explored causal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al trends over time.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enhance school adjustment and reduce psychological problem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