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은유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좋은 유아수학교육 인식 분석

이용수 215

영문명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Goo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Using Metaphor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지유진(Yu-jin Ji) 박정언(Jeong-eon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3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1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은유분석을 활용하여 좋은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유형화하고 분석하여 현장에 좋은 유아수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3-5세 유아교사 154명을 대상으로 은유분석 질문지를 온라인으로 배부하였다. 자료분석은 Gok과 Erdogan(2010)이 제안한 은유분석 5단계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은유판별 단계, 은유범주화 단계, 은유범주개발 단계, 은유범주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토 단계, 양적데이터 산출 단계로 실시하였다. 결과 유아교사들이 제시한 은유 표현과 이유를 범주화한 결과로 대범주는 유아, 교사, 사회 및 국가의 측면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범주 유형이 가장 많았다. 또한, 첫째, 유아의 측면에서는 좋은 유아수학교육을 ‘즐거움, 재미, 호기심이 있는 교육’, ‘논리⋅수학적 사고 증진을 위한 교육’ 그리고 ‘경험이 중심이 되는 교육’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측면에서는 ‘일상을 통한 교육’, ‘놀이 중심 교육’, ‘교수학습 지원이 필요한 교육’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향후 좋은 유아수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바라볼 필요성이 있는 사회 및 국가 측면은 ‘인간발달의 토대가 되는 교육’, ‘삶의 필수인 교육’, ‘미래사회 대비를 위한 교육’, ‘유-초 연계를 위한 교육’의 순으로 표현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은유 분석을 통해 유아교사의 좋은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좋은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가치관을 파악하여 유아수학교육 실행을 위한 깊이 있는 유아교사의 생각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use metaphor analysis to categorize and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o help effectively apply goo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o the field. Methods A metaphor analysi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nline to teachers of 3-5 year olds working at a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ll country of Korea. And data analysi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five stages of metaphor analysis proposed by Gok and Erdogan (2010) to suit this study, including metaphor discrimination stage, metaphor categorization stage, metaphor category development stage, reliability and validity review stage of metaphor categories, and quantitative data production. Results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reasons by the teachers, the major categories emerged as aspects of young children, teachers, society, and the country, and approached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was the most category typ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 children, goo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as recognized in the following order: ‘education with enjoyment, fun, and curiosity’, ‘education to foster logical and mathematical thinking’, and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Second,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as ‘education through daily life’, ‘play-centered education’, and ‘education requiring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hird, the social and national aspects that need to be looked at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goo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move in the future are ‘education as the foundation of human development’, ‘education as an essential part of life’, and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It was expressed in the following order: ‘education’ and ‘education for linking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y early childhood teachers' diverse thoughts and values ​​regarding goo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y typify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metaphor analysis, and underst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depth thoughts on implementing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 교육철학
  • 수학교육
  • 유아교육학논집
  • 육아지원연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인문사회 21
  • 유아정책연구
  • 한국 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교육철학
  • 교육학연구
  • 유아교육연구
  • 생태유아교육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초등교육연구
  • 교과교육학연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인격교육
  • 한국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학 논집
  • 한국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연구
  • 아동학회지
  • 한국엔터테인 먼트산업학회논문지
  • 유아교육학논집
  • 유아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The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 Young Childr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유진(Yu-jin Ji),박정언(Jeong-eon Park). (2024).은유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좋은 유아수학교육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3), 1-18

MLA

지유진(Yu-jin Ji),박정언(Jeong-eon Park). "은유분석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좋은 유아수학교육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3(2024): 1-1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