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Moral and Civic Education Using Literature: Focusing on Hate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서란(Seo-lan Ja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3호, 225~26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본고는 혐오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의 필요성을 탐구하였다. 혐오는 도덕적·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되는 복잡한 감정으로, 이를 해결하기위해서는 인지적 교정과 공감 능력의 함양이 필수적이다.
교수자는 혐오의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퀴어, 장애, 여성, 노인 혐오를 주제로 한다양한 문학 작품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텍스트에 공감하고혐오의 사회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혐오의 개념적이해를 확장하고, 실제 사례를 탐색하며, 다시 읽기를 통해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달성하고 나아가 혐오 문제를 탐구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인지 교정을 위한 혐오 개념 이해 및 타자 이해를 위한 리터러시 신장을 통하여 혐오 문제 극복을 목적으로 하는 도덕시민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교육적 접근은 혐오 문제를 타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need for moral and civic education using literature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hate. Hate is a complex emotion formed in moral and so cial contexts, and cognitive correction and empathy are essential for addressing it.
Based on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hate, the instructor provided students with a variety of literary texts on the themes of queer phobia, ableism, misogyny and ageism. This allowed students to expand thei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hate, explore real-life examples, achieve a deeper understanding through re-read ing, and ultimately explore and propose solutions to the problem of hate.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moral and civic education that aims to overcome the problem of hate through cognitive remediation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ate, as well as literacy development to understand the other. Such an educational approach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ackling the problem of hate.
목차
1. 들어가며
2. 복합적 감정으로서의 혐오와 도덕시민교육의 가능성
3.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의 실제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