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a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 moderated by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경진(Kyung-Jin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2호, 359~37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 우울 간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두려움(FoMO)이 매개하는지 이와 더불어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효과를 갖는지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본심리욕구 불만족은 높은 수준의 FoMO를 거쳐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FoMO의매개효과가 지지되었다. 둘째, 기본심리욕구 불만족과 FoMO 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기본심리욕구 불만족이 FoMO를 통해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적응적인상담개입방안 및 시사점을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FoMO)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adjusted effectiveness model was tested to ensure that moderate unco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medium path produces an adjustment effect through the FoMO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Firs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was predicted depression through FoMO, thus supporting the mediation effect of FoMO.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link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and FoMO.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significant in the path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dissatisfaction leads to depression through FoMO.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unseling intervention pla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