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남서해안 퇴적상에 따른 잘피 서식지의 분포 현황 분석

이용수 61

영문명
Distribution of Eelgrass Habitats According to the Sedimentary Facies of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저자명
여정윤(Jungyoon Yeo) 김종규(Jongkyu Kim)
간행물 정보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제32권 제2호, 127~13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수산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0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know the sedimentary facies information of southwest coast of Korea, a DB of 4,026 surface sediment information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sedimentary information provided by KHOA (Korea Hydrography Oceanographic Agency) and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ers. Through a reclassification process using the GIS method, it was divided into six sedimentary facies distribution areas (RDA: Rock Dominated Area, GDA: Gravel Dominated Area, SDA: Sand Dominated Area, MSDA: Muddy Sand Dominated Area, SMDA: Sandy Mud Dominated Area, MDA: Mud Dominated Area). As a results of the study, the eelgrass habitat was highest at 72.70% in MDA, followed by 10.33% in GDA, followed by SMDA (6.90%), MSDA (5.52%), SDA (4.35%), and RDA (0.20%). The reason for the high distribution value of eelgrass habitats in mud dominant sediment seems to be due to the high porosity of mud sediment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 salts.

목차

서론
자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요약
사사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정윤(Jungyoon Yeo),김종규(Jongkyu Kim). (2024).한국 남서해안 퇴적상에 따른 잘피 서식지의 분포 현황 분석.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32 (2), 127-133

MLA

여정윤(Jungyoon Yeo),김종규(Jongkyu Kim). "한국 남서해안 퇴적상에 따른 잘피 서식지의 분포 현황 분석."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32.2(2024): 127-13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