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on Self-Efficacy, Peer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with Suicidal Tenden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수정 이은영 천성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771~78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U시 소재 O중학교 1학년 중 2019학년도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에서 자살위기 문항(AMPQ-III Q53, Q57) 점수의 합이 2 이상인 대상자 16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8명씩 무선배정하였고 동질성검사를 통해 동일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우울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주 2회 50분씩 총 12회기의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후 두 집단에게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은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은 우울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울이 감소하고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가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결론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고, 자살 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board game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fficacy, peer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with suicidal tendenc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O Middle School in U City who scored a sum of 2 or more on the suicide crisis questions (AMPQ-III Q53, Q57) in the 2019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and 8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homogeneity test confirmed that they were the same group.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given a pretest on self-efficacy, peer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of 50 minutes twice a week. Afterwards, the two groups were given a post-test, and normality and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Results First, suicid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Second, suicid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depression. This mean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less depression and improved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is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and reducing depression in suicidal adolescents, and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suicidal adolescents that reflect their needs and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