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Basic Academic Skills of vulnerab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 on Weekly Participation Frequency and Grad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은혜 황혜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583~6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취약계층 초등학생들의 기초학력 증진을 위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주별 참여 회기와 학년에 따라 효과 차이를 분석하여, 참여 효과를 높이기 위한 성과 평가와 환류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6년부터 2022년도까지 경기도 소재 A시의 드림스타트 기초학력 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 173명의 BASA검사(읽기, 쓰기, 수학) 결과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검증(t검증), 주별 참여 회기(1회, 2회)에 따른 공변량분석, 학년(1, 2학년, 3, 4학년, 5, 6학년)에 따른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기초학력 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첫째, 주별 참여 회기에 따라 읽기와 수학에서 주 2회 참여했을 때가 주 1회 참여한 것보다 높은 효과를 보였다. 둘째, 참여 학년에 따라 읽기는 3, 4학년과 5, 6학년이 1, 2학년에 비해 참여 효과가 높았고, 수학은 1, 2학년이 3, 4학년에 비해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쓰기는 참여 회기와 학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위와 같은 결과에 따라 취약계층 초등학생을 1:1로 방문하여 실시하는 교육 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개별 맞춤식 수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상자의 취약한 과목과 학년을 고려하여 단기간의 집중 개입과 장기간의 체계적 개입의 차이를 둘 필요가 있으며, 참여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진단방법과 교육과정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variations in the impact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enhance basic academic skills among vulnerab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considered factors such as weekly participation frequency and grade. The primary goal was to gather evidence for assessing performance and enhancing the program, ultimately improving participation outcomes.
Methods Using the BASA test results (reading, writing, and mathematics) of 17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basic academic intervention program at the City Dream Start Center A in Gyeonggi Province from 2016 to 2022, we conducted a pre-post test difference analysis (t-test), a covariance analysis based on weekly participation frequency (1 and 2 sessions),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based on grade level (1st-2nd grade, 3rd-4th grade, and 5th-6th grade).
Result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basic academic intervention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based on weekly participation frequency, higher effects were observed in reading and mathematics when participating twice a week compared to participating once a week. Secondly, based on grade level, reading showed higher effects in 3rd-4th, and 5th- 6th grades compared to 1st-2nd grades, while mathematics showed higher effects in 1st-2nd grades compared to 3rd-4th grad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riting based on participation frequency and grade level.
Conclusion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conducted on a one-on-one basis for vulnerable elementary students need to consider individualized tailored less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between short-term intensive interventions and long-term systematic interventions, considering the students' weak subjects and grade levels. Also,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methods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curriculum are required to enhance participation outcom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