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CTL programs for undergraduat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은하 두민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131~14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분석 연구를 통해 국내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운영하는 학생 대상 프로그램의 현황 및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문헌분석 준거에 따라 2018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논문을 PRISMA를 활용하여 수집 및 검증하였고, 최종 연구 대상물 53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인 학습자 대상, 프로그램 목적, 교수 접근법, 그리고 학습효과 변인의 분석 틀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구성하고, 코딩 작업을 통해 추출한 연구 결과에 대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프로그램의 목적은 학점 상승 및 학업성취 증진이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대상은 일반 학부생과 학업저성취자 및 학사경고자가 많았다. 교수-학습 접근법으로는 학습공동체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주요 학습효과는 학점 상승 및 학업성취 증진, 그리고 자기주도학습 역량 향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수학습센터의 프로그램은 학업성취 증진 목적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가 반영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장 많이 활용된 교수-학습 접근법인 학습공동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의 제공 및 공동체 활동이 학습결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 및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TL programs for 4-year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program purposes, target audiences, instructional approaches, and learning outcomes.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research findings related the CTL pro-grams published between the year 2018 and June 2023. We searched KCI indexed journal articles using sing in-clusion criteria and narrowed down to 53 journal articles for analysis.
Results ‘Achieving good grades and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was a predominant purpose of the CTL pro-grams followed by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and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The majority of the program target audiences were undergraduates without any restriction followed by low learning achievers includ-ing those who received academic probation. A learning community was the most popular instructional approach of CTL programs followed by a mixed approach, workshops, and tutoring. The primary learning outcomes of the CTL programs included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Conclusion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CTL programs predominantly focus on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and enhancing GPA.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CTL programs to satisfy the needs of diverse students other than academic accomplishment. Also, the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underrepresented target audiences of the CT programs, including international students, transfer stu-dents, or freshmen. Finally, the CTL program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specific guidelines on how to operate learning communities to maximize learning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