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Literature-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영인 배경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8호, 829~84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목적은 문학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공감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교육 프로그램은 ADDIE(분석, 설계, 개발 평가)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03월부터 04월까지 B시 소재하는 간호대학생으로 실험군 37명, 대조군 37 명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SPSS/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X2 - test, peired t-test, Independent-test, Two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문학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t=-2.343, p=.022), 공감능력(t=3.103, p=.003), 문제해결능력(t=2.997, p=.004)가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두 그룹간의 시간경과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문학기반학습은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공감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며,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에 긍정적인영향을 주었으므로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literature-based learning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y.
Methods The educational program of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evaluation) model, and the research design is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applying a design before and after an unequal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2022,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argeting 37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7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as nursing students located in B city. SPSS/WIN 23.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X2 -test, peired t-test, independent-test, and two 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Results Literature-based learning improved emotional intelligence (t=2.343, p=.022), empathy ability (t=3.103, p=.003), and problem-solving ability (t=2.997, p=.004) of nursing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ver time.
Conclusions Literature-based learning will help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y of nursing students,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presents a teaching-learning mod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