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ork Environment Cluster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혁 문혁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159~17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근무환경이 어떻게 군집화 되는지 살펴보고, 군집유형에 따라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대전지역의 보육교사 462명을 대상으로 근무환경의 하위변인인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업무전문성지원환경을 활용하여 위계적 군집분석과 K-means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유형에 따라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3.3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유형은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그 특성을 반영하여 ‘근무환경 상위집단’, ‘근무환경 중간집단’, ‘근무환경 하위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군집유형에 따른 근무환경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근무환경 하위집단’ 유형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의 군집유형과 특성을 확인하고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근무환경 유형에 대한 조절효과를 통하여 직무만족도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cluster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462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Gyeonggi, Daejeon province, cluster analysis using the sub-scales of work environ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luster type,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3.3 for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Results First, there were 3 clusters according to infant care teacher’s work environment. Cluster 1 was named ‘working environment low-group’, Cluster 2 was named ‘working environment middle group’, and Cluster 3 was named working environment high-group’. Second, ‘working environment low-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e low the level of working environments have become, the bigger conditional effect they have ha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infant care teach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that can suggest ways to active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