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roficiency of Mathematic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현(Park Ji Hyun)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0권 3호, 553~57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출제된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차세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년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출제된 문항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별로 분류하고, 각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들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숙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부 성취기준의 경우 다루는 내용 범위에 있어서 전문가들의 해석에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함수, 확률과 통계, 기하 영역은 학생들의 숙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며, 상위 성취수준의 학생들만 숙달한 것으로 나타난 성취기준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성취수준이 낮게 나타난 성취기준에 대한 상세화를 통한 학습 기회의 확대 및 학습 내용 구체화, 성취기준 간 연계성 강화 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utcome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2015-2018 whe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pplied and suggested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evaluating test items developed by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low in the ‘Functi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Geometry’ domain. In addition, many achievement standards could be mastered only by the above average group of student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achievement standards which were under achieved. To improve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pecify detailed achievement standards and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