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erimental Study on Fire Prevention in Buildings Using Emergency Extinguishing Equipment in the Presence of Flying Sparks from Wildfire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권진석 박태희 신영민 임유리 이지향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6 No.5, 114~12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림인접지역의 민가 및 시설물 보호를 위해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 설치한 비상소화장치의 실효성 검증을 목적으로 실증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에 산불로 인한 비화 발생 상황을 재현하여 산림인접지역에서 산불로 인한비화발생 시 인근 민가시설물의 착화와 화염 확산여부 및 화재성상 분석을 통해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비 ⋅상소화장치를 이용한 예비주수 여부와 시설물의 지붕과 벽 재질을 조건으로 총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예비주수 여부에 따라 시설물의 착화 시간, 연소 범위, 온도 양상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상소화장치를 이용한예비주수가 연소확산 저지 및 초기 골든타임 확보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ability of emergency extinguishing equipment installed on the east coast ofGangwon-do to protect private houses and facilities that are adjacent to forest. A simulated wildfire was used to confirmthe equipment’s effectiveness by analyzing the ignition of nearby homes and facilities, the spread of flames, and the firecharacteristics in the presence of flying sparks. The experiment was repeated a total of four times by applying a preemptivewater stream from the emergency extinguishing equipment onto the roof and wall of the facility. The experimental resultsshowed, distinct differences in the ignition time, combustion rang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facility dependingon whether it was exposed to a preemptive water stream.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emptive water stream had asignificant effect on preventing the spread of combustion and establishing the initial golden time for the fire.
목차
1. 서론
2. 비상소화장치 개요 및 설치현황
3. 비상소화장치 실효성 검증 실험
4. 실험결과
5. 결론
후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