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acculturation stres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on depression of their multicultural adolescent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보금로 장영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837~84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중학교 1학년 다문화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결혼이주여성의 부모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다문화청소년패널 4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228명의 청소년과 그 어머니였고,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Hayes(2021)의 Process Macro 4.0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다문화 청소년 자녀 우울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수 간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모효능감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결혼이주여성의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청소년 자녀의 우울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청소년 자녀 우울 사이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모효능감이 낮아지고, 이를 통해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다문화가정의 발전을 돕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와 다문화 청소년 자녀의 우울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acculturation pressure of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on depression in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and to verify the media effect of the parental 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Methods To test this, the study used the fourth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which involved 1228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ir multicultural mother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Process Macro 4.0 and Model 4 developed by Hayes (2021)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media effects. Results First, zero-order correlation analysis among mothers’ acculturation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nd their children’s depression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variables. Second, acculturation stress of married immigrant women had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in adolescent children, while acculturation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al efficacy. At the same time, the parental efficacy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depression. Finally, parental 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tress in multicultural mothers and adolescent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on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an be addressed by reducing acculturation stress and improving parental efficacy in married immigrant women. Implications to reduce mothers’ acculturation pressure and to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