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s in Communication Skill, Empathy, and Acceptance of others through a Habruta-based Class: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503~51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하브루타 기반 전공 수업이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공감능력, 타인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서 <심리학개론> 전공 과목을 하브루타 수업으로 설계하고, 참여한 4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5주 중 12주 동안 하브루타를 적용하였다. 하브루타 수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들에게 중요한 변인인 의사소통 능력, 공감능력, 타인수용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리학개론> 전공 수업을 12주간 2차시(100분)를 하브루타 기반 수업으로 진행한 결과, 수업 참여 전보다 수업 참여 후에 의사소통 능력, 공감능력, 타인수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하브루타 기반 수업은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언어적 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 공감능력(인지적 공감능력), 타인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를 통해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공감능력, 타인수용을 높여주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하브루타 기반 수업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determined whether a Havruta based class would bring about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and acceptance of others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Methods For this purpose, Havruta was applied for 12 weeks out of 15 weeks for 42 participating student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Havruta class, a response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changes in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and acceptance of others. Result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major class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as a Habruta-based class for 12 weeks, the communication ability, empathy ability, and acceptance of others were statistically higher after class participation than before class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a Havruta-based clas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skills(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empathy(cognitive empathy), and acceptance of other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 Havruta based class as a way for those studying counseling psychology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empathy, and being more accepting of others in an effective mann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