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using video media in remote classes in the COVID-19 situ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하나 서혜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233~2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의 원격수업에서 동영상 매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 2인의 경험에 대한 탐구이다. 방법 이를 위해 J 유치원 교사 2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20년 12월 28일부터 2021년 6월 1일까지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원자료에서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의미 있는 부분을 구분하여 주제어를 짓고 유목화 작업을 하며 연구축을 구성하는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원격수업을 하기 위해 1) ‘놀이온(ON)’의 콘텐츠 활용하기, 2) 동영상 매체로 동일한 학습 경험 제공하기, 3) 단순한 활동 안내를 위한 영상 제공하기, 4) 몰입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영상 콘텐츠 제작하기, 5) 토의와 사고하기가 가능한 영상 제공하기를 하였다. 코로나19 상황의 원격수업 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들은 예비교사교육에 1) 영상 콘텐츠 제작 능력 기르기, 2) 모의수업을 통한 원격수업 능력 기르기, 3) 유아 주도의 원격수업 연구 역량 기르기, 4) 문제를 해결할 유연한 대처 능력 기르기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서의 유아교육을 탐색함으로써 위기 상황을 대비하는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wo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use of video media in remote classes in the COVID-19 situation. Methods For this study, two teachers of J kindergarten were targe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December 28, 2020 to June 1, 2021.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s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in which meaningful parts were divided in order to derive meanings from the original data, the keywords were created, and the research axis was formed by nomadizing them. Results As a result the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did 1) Utilizing the contents of ‘play-on’, 2) providing the same learning experience with video media, 3) providing video to guide simple activities, 4) creating video content that stimulates immersion and curiosity, 5) providing videos that enable discussion and thinking to conduct remote classes. Through the remote classes experience in the COVID-19 situa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ed the need for pre-teacher education; 1) developing video content production skills, 2) developing remote learning skills through simulated instruction, 3) developing early childhood-led distance learning research capabilities, and 4) developing flexible coping skills to solve problem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prepare for crisis situations by expl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risis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