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Functional Cognitive Gait Pattern Program on Gait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Mental Retarded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현광석 박정민 김경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381~39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정신지체 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기능성 인지보행 패턴 운동프로그램 전과 후에 보행패턴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된 연구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K지역 소재 특수체육센터에 내방중인 13세에서 16세 정신지체아동 33명을 대상으로 비 운동 대조그룹(NEG; Non-Exercise group/ n=11), 주 3회 이하 운동 참여그룹(DEG: Deficient Exercise group/ n=11), 주 3회 이상 운동 참여그룹(OEG: Over Exercise group /n=11)으로 선정하여 16주간 기능성 인지보행 패턴 운동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기능성 인지보행 패턴 운동에 따른 정신지체 장애 아동들의 보행패턴을 분석한 결과 보장, 활보장, 보행속도, 분속수에서 OEG가 DEG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둘째, 기능성 인지보행 패턴 운동에 따른 정신지체 장애 아동들의 인지기능을 분석한 결과 신체부위, 숫자표기, 동작, 조작의 모든 변인에서 OEG가 DEG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기능성 인지보행 패턴 운동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장애 아동들의 보행패턴과 인지기능에 효과적인 운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OEG 그룹의 보행패턴과 인지기능 변인의 긍정적인 변화와 DEG 그룹의 변화는 비 참여그룹에 비해 긍정적인 결과임을 확인한 결과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neurological disorders seen of the children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investigating the functional cognitive gait pattern program on gait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mental retarded childre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3 mental retarded children at N located in K city, were selected at random and allocated 11 mental retarded children each for the Non Exercise group (NEG), Deficient Exercise group(DEG), Over Exercise group (OEG) and measured kinematic gait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the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post-hoc test was performed.
Result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gait pattern to functional cognitive gait pattern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velocity,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in OEG compared with NEG and DEG after 16 week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functional cognitive gait pattern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dy part, number display, movement, operation in OEG compared with NEG and DEG after 16 weeks.
Conclusions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unctional cognitive gait pattern program could improve the gait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mental retarded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