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ternal Roles and Transnational Activities Among Korean American Immigrant Mot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유진 양성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333~34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미한인 이민자 어머니의 역할 특성 및 역할 수행을 위한 초국가주의 활동을 탐색하였다.
방법 첫째, 맥락적 이해를 위해 재미한인의 역사적 변화와 시기별 이민자 집단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초국가주의(transnationalism)를 이론적 개념틀로 채택하여, 2000년대 이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한인 이민자 어머니의 역할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결과 재미한인 이민자 어머니는 자신의 역할을 자녀의 학업적 성취를 지원하고, 민족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으로 개념화한다. 그러나 역할 수행 과정에서 이민자로서 다양한 한계를 경험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재미한인 어머니는 모국과의 연계에 눈을 돌리게 하고, 이는 다양한 유형의 초국가주의 활동의 실천으로 이어진다.
결론 재미한인 이민자 어머니들이 실천하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정치적 초국가주의 활동은 단순한 정서적 유대에 머무르지 않으며 미국에서의 어머니 역할, 즉 자녀의 학문적 성취와 민족정체성 확립을 수행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aternal roles and transnational activities among Korean American immigrant mothers.
Methods For the aim of the study, we summarized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immigrants in the US and clarified the concept of transnationalism. We reviewed 18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sults The maternal roles of Korean American immigrant mothers were summarized as ensuring their children’s academic success and helping their children to establish ethnic identity as Korean. In order to perform these roles, Korean American immigrant mothers were involved in economic, sociocultural, and political transnational activities.
Conclusions Transnationalism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understanding Korean families living abroad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For future research, transnational activities that Korean immigrant mothers are involved need to be investigated.
목차
Ⅰ. 서론
Ⅱ. 재미한인 이민자의 변화 및 현황
Ⅲ. 초국가주의와 초국가주의 활동
Ⅳ. 재미한인 이민자 어머니의 역할 수행을 위한 초국가주의 활동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