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보람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209~21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국내 학술지 31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내용, 관련변인, 프로그램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는 2007년부터 2011년도와 2017년부터 2021년 사이에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4년제 재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4년제 신입생, 사이버대 재학생, 4년제 졸업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양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대학 우수학생 특성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대학 우수학생 프로그램이 종속변인으로는 학업성취도와 진로확신도의 활용이 높았다. 여섯째, 우수학생 프로그램 설계시 포트폴리오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 협동적인 학습환경 구축, 지속적인 프로그램 질 관리 등을 강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f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1 to January 2022, and 31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period, research subjects, research types, research contents, related variables, and program trend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honor students was actively conducted between 2007 and 2011 and between 2017 and 2021. Second, the trend by study subject was the highest among four-year students, followed by four-year freshmen, cyber college students, and four-year graduates. Thir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study.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most of th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honor students were conducte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the us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confiden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high, and the university honor student program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Sixth, when designing programs for honor students, the development of a portfolio management system,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establishment, and continuous program quality management were emphasiz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seek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uggests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