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lay activities using unstructured toys on infant playability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해진(Im hea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45~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비 구조화된 놀이감을 이용한 놀이활동이 놀이성과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S시 Y구 소재 두 곳의 어린이집 만 2세, 총 28명을 대상으로 놀이성과 사회정서 발달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비 구조화된 놀이감을 이용한 놀이활동의 결과 영아의 놀이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왔다. 둘째, 비 구조화된 놀이감을 이용한 놀이활동의 결과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이 유의미하게 나왔다.
결론 비 구조화된 놀이감을 이용한 놀이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영아시기에 비 구조화된 놀이감을 이용한 놀이활동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lay activities using unstructured play on play performance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Methods a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play performance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for a total of 28 children aged 2 years at two daycare centers located in Y-gu, S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SPSS 21.0.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play activities using unstructured play, the playability of infant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play activities using unstructured senses of play, th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The effects of play activities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on infants playability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were verified.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active interest in play activities using unstructured play materials is necessary during infan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