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xpression Vocabulary amo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재봉(Kim Chaebo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2권 6호, 449~47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사가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3학생 학생들과 문맥을 활용한 어휘지도수업을 한 내용을 전사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단어 기반의 문장 표현 길이는 ‘문학>과학>예술’과 같은 경향성을보여주었다. 문학 영역이 긴 것은 학생들의 실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고 과학 영역이 그 다음인 것은 실제로 학생들이 경험한 것을 표현으로 연결 지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둘째, 학생들이 사용한 주된 언어의 유형은 기술 언어였다. 반면에 교사는 기술 언어와 동기부여 언어를 많이 사용했다. 셋째, 학생들이 보인 표현 어휘력 발달의 양상은 ‘(1) 암기와 기억 기반의 새로운 의미 발견, (2) 이해 기반의 통합과 변형, (3) 이해의 경험적 연결로서의 탈맥락화’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ly the transcribed data of the contents of vocabulary guidance classes using context with 3rd grad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elementary school.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students’word-based sentence expression length showed the tendency as ‘literature>science>art’. The long literature area is presumed to be the closest to the real life of students, and the science area is next because it actually linked what students experienced with expressions. Second, the main type of language by students was descriptive language. On the other hand, teacher used a lot of descriptive and motivational language. Third, the pattern of vocabulary development shown by students is ‘(1) discovery of new meanings based on memorization and memory, (2) consolidation and diversifi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3) decontextualization as an empirical connection of understanding’.
목차
1. 서론
2. 표현 어휘력 발달의 측정 기준과 표상 작용
3. 연구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