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web-based women s health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숙(Kim HeeSook) 배경의(Bae Kyung Eu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호, 267~27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웹기반 여성건강간호학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이다. 구체적인 평가 항목은 웹기반 학습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한 여성건강간호 개요, 임신여성간호, 분만여성간호에 대한 학습성과 성취도를 프로그램 이용 전후의 차이, 웹기반 프로그램후의 교육 효과성⋅교육 만족도⋅학습의 어려움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일 대학 간호학과 3학년 77명을 대상으로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여성건강간호 개요, 임신여성간호, 분만여성간호에 대한 학습성과 성취도를 프로그램 이용 전후의 차이를 학습성과 성취도의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로 파악하고, 교육 효과성⋅학습 만족도⋅학습의 어려움을 검사하여 파악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웹기반 여성건강간호학 교육프로그램을 2주간 적용하고 평가한 결과로 학습성과 성취도 점수는 교육프로그램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2.63, p<.001). 교육 효과성의 평균점수는 3.62±.40, 교육 만족도의 평균점수는 3.12±.64, 학습의 어려움의 평균점수는 2.87±.64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웹기반 여성건강간호학 교육프로그램 적용이 간호대학생에게 학습성과 성취도 향상과 웹기반 자기주도적 학습을 향상시키고, 차후 확대 적용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web-based women s health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he specific evaluation items were the difference in learning outcomes and achievements for women s health nursing overview using web-based education programs, pregnant women s nursing, and childbirth nursing care before and after using the program,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difficultie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7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As for the research method, learning performance and achievement were identified as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difficulty were identifi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nd achievement scores (t=12.63, p<.001). The average score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3.62±.40, the average score of education satisfaction was 3.12±.64, and the average score of learning difficulty was 2.87±.64.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the web-based educational program improved the learning outcomes and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he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and future expansion i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