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hallenges and Chance for the Korea s Future Climate Change Law for the Paris Agreement Global Governance

이용수 43

영문명
Challenges and Chance for the Korea s Future Climate Change Law for the Paris Agreement Global Governance
발행기관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이기한(Kihan Lee)
간행물 정보
『명지법학』제20권 제2호, 60~85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파리기후협정에 대비한 한국의 기후변화 법과 정책의 도전과 기회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고자 파리협정을 채택하였고 파리협정에 서명한 국가는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할 의무가 부과된다. 국제사회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현실에서, 기후변화 협약체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최근 제정된 우리의 ‘탄소중립 2050’을 위한 탄소중립 기본법은 기후위기대응 및 우리나라 NDC 이행의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후변화협약의 영향을 받아 ‘성장’과 ‘환경’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구체적이고 절차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 법적 방안과 파리기후변화협약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실효성 있는 기후변화 법체계와 방안을 제시한다. 따라서 동법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위기대책을 강화하고, 2050년 탄소중립의 실현이라는 국가비전을 위해 국가전략 및 중장기감축목표를 수립하고, 이행현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차후에 반영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나하나 체계적으로 취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도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에 맞추어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인식의 전환을 도모하고, 탄소중립기본법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실행해야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파리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녹색성장과 그린뉴딜정책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aris Agreement presents a new model for global climate change law. It transforms the top-down, mitigation focused, and state obligation centered climate change model of the Kyoto Protocol to a model of bottom-up, comprehensive and procedural rules. This article further argues, the Paris Agreement will trigger worldwide legislation on climate change law, revitalize global carbon market and reconstruct global governance and law. The Paris Agreement passed in the COP 21 of UNFCCC was highly praised as a success model for global effort on responding climate change, yet its importance to the global society and Korea has been fully elaborated. Why the COP is able to reach a global agreement? What s the impact of the Paris Agreement on global and domestic Korea climate change law? How should Korea climate change law prepare for the coming global legal order? Following this introduc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Korea green growth concept responding climate change. In chapter II,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Paris Agreement with an attempt to explore its impact on the global climate change law. In chapter III, this paper introduces an overview of South Korea s green growth policies and legislations responding climate change: the National Strategy, the Five-Year Plan, an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It provides a brief outline of the essential concepts: sustainable development, green economy, green growth, and green growth as an interrelated and interchangeable concept of green economy. this paper addresses South Korea s economic development, specific ally its shift from a quantitative growth model to a qualitative growth model with low carbon, green growth as the national vision responding climate change. In chapter IV, this article then examines recent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law in Korea, and argues that Korea should be better prepared for the coming global climate change legal order with three ways: deepening climate change policy, reconstructing organizational and procedural settings and seeking opportunities in the new legal order. Part V explains how green growth can become meaningful growth by national consensus and public participation to prepare for the coming global legal order.

목차

I. Introduction
II. The Creation of the Global Climate Change Law
III. Global Climate Change Law and Governance
IV. Challenges And Chance For Korea’s Future Climate Change Law
V.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한(Kihan Lee). (2022).Challenges and Chance for the Korea s Future Climate Change Law for the Paris Agreement Global Governance. 명지법학, 20 (2), 60-85

MLA

이기한(Kihan Lee). "Challenges and Chance for the Korea s Future Climate Change Law for the Paris Agreement Global Governance." 명지법학, 20.2(2022): 60-8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