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ublic information signage design for driving in perspective of improving contextual visibility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사야(Saya Lee) 조익현(IkHyun Cho) 김채희(ChaeHee Kim) 이중섭(JongSup Lee) 김승준(SeungJun Kim) 이은종(EunJong Lee)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10, No.4, 63~7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국문 초록
도로 위 공공 정보를 안내하는 표지판은 짧은 시간 내에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야 하므로 해당 지점에서 적합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법령에 의해 개정된 도로표지규칙은 도로명 주소를 기반으로 하려 기존의 도로표지판과 비교할 때 정보의 종류, 표현 방법, 표현 비중 등에서 크게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명을 기준으로 달라진 개정된 도로표지판이 실제 지각-인지-이해-투영의 인지적인 관점에서 효과적인지를 분석하고 실제 주행하는 환경과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한 정보를 기반으로 개선된 디자인을 제시하고, 기존의 도로명 위주의 표지판과 비교하여 시인성 정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표지판 내용의 적합성에 대한 정성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적합한 주행 정보와 직관적인 시인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blic Signs guiding drivers on the road should help make decision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o appropriate information should be effectively expressed at the point. Currently, the road marking rules revised by the law show a significant change in the type of information, expression method, and weight of expression compared to existing road signs to be based on road name addresse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revised road signs changed based on the road name were effective in perspective of perception-cognition-understanding-projection and examined whether they provided appropriate information for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esent an improved design, evaluate the degree of visibility compared to existing road name-oriented signs, and a qualitativ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suitability of the sign content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more suitable driving information and measures to increase intuitive visibility can be reviewed.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