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Typolog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ing Academic Burnout: An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예린(Park Ye-Rin) 선혜연(Seon Hye-Y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559~57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적용하여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과 차이점을 파악하며, 유형을 판별하기 위한 사정도구인 Q블록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45명의 일반계 고등학생으로, 한국형 학업소진척도를 통해 선별되었다. 선정된 연구 참여자 중 11명의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문헌분석을 통해 총 429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모집단을 구축하였다. Q모집단을 대상으로 4단계의 분류 과정을 거쳐 총 51개의 진술문을 Q표본으로 선정하였고, 34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Q분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5개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형을 확인하는 사정도구인 Q블록을 개발하기 위해 각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진술문을 선별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은 유형 1 ‘경쟁형’, 유형 2 ‘의미상실형’, 유형 3 ‘기능감퇴형’, 유형 4 ‘두려움형’, 유형 5 ‘위축형’으로 나타났고, 최종적으로 총 20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4개의 학업소진 Q블록이 개발되었다.
결론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일반계 고등학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학업상담에서 학업소진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ype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 academic burnout, analyze each type s characteristics and develop the Q-block for assessment.
Methods Q-population was assembl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reviewing the literature. As a result, 429 statements were constructed. Q-population were examined by conducting selection process for four times. Through this process, 51 statements were selected as the Q-sample. 34 high school students arranged the statements into a forced normal distribution of most to least agreement.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QUANL Program. And researcher named and described each factor.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ing academic burnout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Type 1 was ‘Competitive type’, type 2 was ‘Meaningless type’, type 3 was ‘Functionally deteriorating type’, type 4 was ‘Fearful type’, and type 5 was ‘Depressed type’. And Q-block comprised of 4 blocks and 20 distinguishing items was developed.
Conclu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high school students inner experience of academic burnout in detail and presented differentiated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ach type, by classifying 5 types. And the limitation in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