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the Life of a Middle-aged man Who Experienced Father s Suicide in Adolescence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경희(Kyung-Hee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4호, 45~6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를 자살로 잃은 중년남성이 성장기와 성인기에 어떤 경험을 하며 살아왔으며, 그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자료는 연구참여자와 일대일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수집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울음도 허용하지 않는 극도의 충격’, ‘아버지의 부재는 멍으로 남음’, ‘공부의 꿈을 접고 공업계로 진학’, ‘대학 진학 후에 군지휘관으로 지원’,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장인과의 만남’, ‘집안의 중심, 책임있는 사회구성원으로’라는 6개의 의미주제가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자살유가족의 삶을 지지하고 그들의 추락한 삶을 복원할 수 있는 복지상담 차원에서의 상담 방향을 모색했다. 그 내용은 상처받을 가능성, 자기 삶과의 화해 그리고 사회적 낙인과 수치심에 관한 논의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 and life of a middle-aged man who experienced father’s suicide in adolescence. To explore the meaning of one’s experience, this study used a narrative inquiry framework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data, 6 semantic themes were identified: ‘extreme shock which didn’t even allow crying’, ‘the bruise remained after father’s absence’, ‘giving up one’s dream by entering engineering high school’, ‘volunteering for military commander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meeting with a father-in-law who can be called dad’, ‘being the center of the family and a responsible member of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welfare counseling to support the lives of suicide survivors and restore their fallen lives. Specifically, the chances of injury, reconciliation with one’s life, social stigma, and shame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과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