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the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 among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선미(Choi, Sun Mi) 김태임(Kim, Tae 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13~2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유방암⋅유방자가검진 지식,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태도, 유방자가검진 자기효능감 및 유방자가검진 수행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대전⋅충청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110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및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고(24점 만점에11.48점), 매달 규칙적으로 유방자가검진을 수행한 대상자는 7.5%였다. 또한 유방자가검진 수행은 유방자가검진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393, p<.001). 회귀분석 결과 유방자가검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방암⋅유방자가검진 교육을 받은 경험(β=.282), 학력(β=.260), 유방자가검진 자기효능감(β=.225)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들 변수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을 29.8% 설명하였다(F=12.546, p<.001).
결론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 요인규명과 더불어 유방자가검진 자기효능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및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descriptive study conducted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f breast self-examination (BSE) practice among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and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the BSE practi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0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living i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December 1, 2020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BSE pracitce among participants was 11.48 out of 24. Only 7.5% of participants practiced BSE with a monthly basi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SE practice and BSE self-efficacy (r=.393, p<.001). In the regression model, breast cancer and BSE education experience (β=.282), educational background (β=.260), and BSE self-efficacy (β=.225)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variables on the participants’ BSE practice, and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9.8% of the BSE practice (F=12.546, p<.001).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BSE practice of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dditional factors affecting BSE practice. In addition, we suggest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enhance BSE self-efficacy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