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 self-esteem, schoolteacher s resilience and student s resilience: multi-level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란(Lee Hea Ran) 서영석(Seo Young Se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99~1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학생의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18년 5월 18부터 21일 기간 동안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510명에게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척도를 실시하고, 교사 20명에게는 회복탄력성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Stata 14.0프로그램으로 다수준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력, 공감능력, 자아낙관성, 감사하기는 정적인 영향을, 자아확장력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통제변수로 투입된 교사의 성별 특성을 보면 교사성별이 남자보다 여자인 경우가 학생탄력성에 대해 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학생의 학년별 특성에서는 4학년 집단보다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학생의 회복탄력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학생 자신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기술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both students self-esteem, school teachers resilience and students resilience based on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on 510 students and 20 school teachers from an innovation elementary school. As the research tools, this study uses the scale of self-esteem, resilience scale and Korean Resilience Scale. Selected data were performed using Stata 14.0 for window for multi-modeling analysis of 2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sults As for the result, at first, the students self-esteem has a positive relationship on their resilience. But except an emotion regulation level, the sub-factors of school teachers resilience have a relationship with student s resilience. Second, based on a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all the sub-factors of students resilienc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their self-esteem except the variabl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s the sub-factors of school teachers resilience, there are a positive effect with emotion regulation skills, empathy skills, self-optimism, being grateful, however, there is a negative effect with self-extension. Third, regardless of the students gender and school teachers gender and grade, the students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resilience and also the empathy skills from the sub-factors of school teachers resil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resilience.
Conclusions This study finds out how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teachers resilience influence on students resilienc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escrib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