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Achievement Programs for Underachievers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Learn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daptive Capac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영(Jo, Hye-Young) 이보림(Lee, Bo-Rim) 조민정(Jo, Min-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1호, 113~12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업저성취자 대학생을 위한 학업성취 프로그램이 학습역량, 자기주도 학습역량, 적응역량에 영향을 주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S대학교 학업저성취자 12명이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초통계 분석(M, SD)을 통해 연구변인의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MindFit 적응역량검사와 Kolmogorov-Smirnov 또는 Shapiro-Wilk 정규성 검증을 통해 비모수통계 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경우 짝지어진 표본 간의 분포 차이를 알아볼 수 있으므로 Wilcoxon 검정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성을 확인 한 결과 Kolmogorov-Smirnov와 Shapiro-Wilk에서 유의수준이 일부에서 p<.05 로 나타나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변인의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학습역량의 정보구성 능력(p-value .004),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p-value .003), 자기개선 및 사회성(p-value .002)이다. 자기주도 학습역량의 학습활동(p-value .003)과 적응역량의 친사회성(p-value .010), 사회적 지지(p-value .026)이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업저성취자들 대부분이 학업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학업저성취자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academically underachieving university students in learn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daptive capac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underachieving students at S University.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identified the tendency of study variables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M, SD) using SPSS 18.0. MindFit adaptive capacity test and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ere chosen through Kolmogorov-Smirnov or Shapiro-Wilk normality test. Results For this study, Wilcoxon test was conducted because we could recognize the distribution differences between the paired sampl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normality, some of the significance levels in Kolmogorov-Smirnov and Shapiro-Wilk turned out to be p<.05 and didn t satisfy the normality.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tudy variables are found in the ability to construct information (p-value.004), resource utilization and self-awareness (p-value.003), self-improvement and sociality (p-value.002).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study variables are found in the learning activ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value.003), prosociality of adaptive capacity (p-value .010) and social support (p-value .026). Third, most of the underachiever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showed improvement in their studi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and running programs for underachiev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