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Read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ing Reading Strategies on Mindless Reading Reduction in 5th and 6th grad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동민(Jang, Dong 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9호, 211~2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읽기 과정 중, 읽기 동기와 자기 조절 읽기 전략의 Mindless 읽기 감소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Mindless 읽기는 읽기 과정 중 주의 산만과 같이 읽기에 몰입하지 못하는 비몰입상태를 의미한다. 방법 이에 따라 학생들이 텍스트를 읽는 과정 중 읽기 동기와 자기 조절 읽기 전략이 Mindless 읽기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해 확인하는 것을 연구 문제로 하였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실험 전 학생들의 읽기 동기에 대한 측정이 있었으며 실험 과정 중 자기 조절 읽기 전략에 대한 측정과 사고 탐침 포착방식(Probe caught)에 의한 Mindless 읽기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졌다. 연구 기간은 2020년 10월부터 12월 초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55명(남: 74명, 여:81명)이었다. 결과 읽기 동기는 Mindless 읽기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자기 조절 읽기 전략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 과정 중 학생들의 몰입을 위해 자기 조절 읽기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self-regulated reading strategies on Mindless read reduction during the reading process. Mindless reading refers to a state of non-immersion that cannot be immersed in reading, such as distractions during the reading process. Methods Therefore, it is a research problem for student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motivation and the impact of self-regulated reading strategies on Mindless reading during the text reading process.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there were measurements of pre-experimental students reading motivation, and measurements of self-regulated reading strategies and Mindless reading by Probe Caught during the experimental process. The study period was from October 2020 to early December 2020, with 155 fifth- and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74 men, 81 women) Results Reading motiv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Mindless read reduction and indirectly affects self-regulated read strategies as a mediation. Conclusions It is significant that it revealed the impact of self-regulated reading strategies on students Mindless reading reduction during the reading process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reading immer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