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ole of school police officers in response to school violenc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종식(Kim Jong Sik) 홍서아(Hong Seo Ah) 유병후(Yu Byeong Hu)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7권 제1호, 53~7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국문 초록
국문 경찰은 학교폭력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을 모색하여 학교폭력예방과 가해자 선도 및 교육에 심도있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욱이 자치경찰제의 시행 이후 자치경찰 사무의 영역에서 학교폭력대응의 책임의 소재는 더욱 확고해졌으며 자치경찰의 역량을 더욱 집중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되었다. 학교폭력예방 업무의 핵심요인이 자치경찰의 성공요인과 일치하는 점을 논거하고 또한 자치경찰 시행 이후의 학교폭력대응의 문제점에 대한 예방적 진단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치경찰제도 시행 이후 경찰의 학교폭력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자치경찰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문 초록
The police are making in-depth efforts to prevent school violence, lead perpetrators, and educate students by seeking various approaches to school violence. Furthermor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the responsibility for responding to school violence became more firm in the area of self-governing police affairs, and it became a problem to solve by focusing more on the capabilities of self-governing police. We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key factors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work are consistent with the success factors of self-governing police, and suggest preventive diagnosis of problems in school violence respons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self-governing pol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elf-governing police to effectively respond to school violence by polic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목차
1. 서론
2. 학교폭력에 대한 경찰대응
3. 자치경찰제도의 학교폭력 대응문제
4. 학교폭력대응을 위한 제언
5.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