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related to Teacher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정(Lee, Yoonjeong) 김혜경(Kim, Hae K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4호, 1411~143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아 및 초등교사 관련 연구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추후 연구 및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에서 유아 및 초등교사 관련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출간된 39편의 국내학술논문과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출간된 33편의 국외학술논문으로 총 72편을 분석하였다. 논문 선정을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Education Source 서비스를 활용하여 선정하였으며, 분류된 자료는 엑셀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를 산출하였다. 자료 분석기준은 연도, 연구대상, 연구내용, 연구방법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연도별 연구 동향은 국내의 경우 2010년대 중반 교사 관련 연구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국외의 경우 꾸준히 연구되었으며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연구대상의 경우 국내ㆍ외 연구 모두 현직교사 대상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내용은 교사의 인식ㆍ태도와 요구도, 교육실행 경험,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사실행 실태 및 전망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의 경우 국내는 조사연구에 기초한 양적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의 경우 질적 연구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실천하는 유아교육 및 연계된 초등교육 교사 관련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추후 지속가능발전 교육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교육을 담당하는 주체인 교사 관련 연구를 위한 다각적 접근방법을 제언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 related to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teacher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propos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nalyzes 39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a total of 72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content, and research method. Research trends by publication year showed a trend of increasing in the mid-2010s in South Korea, whereas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steadily abroad. In terms of participants, there were more inservice teachers than preservice teachers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found in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such as practice of ESD and prospective of teacher education, the perception/attitude and demand of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case of research methods, there are many quantitative studies based on survey research in South Korea, whil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widely used in foreign studies.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future and suggest a multifaceted approach for research related to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