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borsaving Effect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Grape ‘Campbell Early’ According to Pedicel Thinning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김수진 박서준 고상욱 정성민 허윤영 남종철 박교선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8권 제2호, 290~29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포도 송이다듬기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송이다듬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도의 송이다듬기 기술은 지경솎기가 알솎기에 비하여 작업효율성이 6.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품질은 지경솎기 및 알솎기가 무처리구보다 과방과 과립수가적지만 가용성 고형물은 높고, 산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압상률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송이다듬기에 의한 포도의 송이 품질균일도를 조사하기 위해 송이의 기부, 중간 및 선단 부분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산도를 측정한 결과 350~450 g의 과방중을가진 포도송이가 송이 내 위치에 따른 품질의 차이가 나타나지않아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The experiment were carried out in 7-year-old ‘Campbell Early’ grape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y fruit cluster thinning methods (Pedicel and berry thinning). Pedicel thinning, such as labor-saving cluster thinning of grape, was 6.7 fold higher than the berry thinning for work efficiency. The fruit cluster weight and number of berry were lower in the fruit cluster thinning fruits than in the none-fruit cluster thinning, however, the soluble solid content (SSC) was high and titratable acidity (TA) was low in the fruit cluster thinning fruits than in the none-fruit cluster thinning fruits. Therefore, the bruising rate of berries was decreased in the fruit cluster thinning fruits. Quality uniformity by fruit cluster thinning was proper in fruit cluster weight of 350~450 g when SSC and TA in part of lower, middle and upper of cluster was considered.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