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Role of Paranoid Thought and Self-Concealment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가은(Baek Ga-eun) 양재원(Yang, Jae-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3호, 1063~10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불안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편집사고와 자기은폐가 가지는 매개효과와 그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 7월부터 약 5개월간 365명의 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공포증 척도, 편집사고 척도, 자기은폐 척도, 한국판 우울증 선별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 편집사고, 자기은폐, 우울은 서로에 대해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편집사고와 자기은폐는 이중 연속으로 매개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울에 사회불안, 편집사고 및 자기은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paranoid thought and self-concealment in the path from social anxiety to depression. For this purpose, 365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ocial Phobia Scale, Paranoid Thought Scale, Self Concealment Scale.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anxiety, paranoid thought, self-concealment,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anoid thought and self-concealment has been found i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s well.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high social anxiety tend to have paranoid thought and conceal themselves, therefore, they are more likely to feel depressed.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