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ducational Support Method for Gifted Students in an Alienated Areas through Analysi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Cultural Activ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맹희주(HeeJu Mae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931~9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급지에 따른 초등영재들의 문화 활동 현황을 분석하고 소외지역 영재들을 위한 영재 지원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의 학교급지별 초등 영재학급이 있는 6개의 학교를 선정하여 5, 6학년의 11개의 영재학급에서 177명의 초등영재들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0월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문화 시설이 부족한 을지지역의 초등 영재들은 다른 학교급지의 초등영재들에 비해 박물관 관람 활동, 독서 활동 및 영화 관람 활동의 기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불평등 조건에 놓여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을지지역 초등영재들은 문화유적지 탐방, 미술관 관람, 문화예술 공연 관람에 대해 무경험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외지역 영재들의 교육지원 방안으로, 소외지역 문화 시설을 고려하여 타 지역의 영재학급과 문화 활동 교류가 가능한 융합문화 영재교육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소외지역 교육 기회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 지리적, 문화 시설 기반에 구애 받지 않고 활용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cultural activities according to school grades by location, and considered ways to support gifted student in an alienated areas. For the study, a survey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8, on 177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11 gifted classes in the 5th and 6th grades by selecting 6 elementary schools with gifted classes according to school grades by location in Gyeonggi-do.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the ‘Eulji area’, which lacked cultural facilit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equality conditions for museum visits, reading activities, and movie viewing activities compared to gifted students of other school grades by location. Second, although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proportion of elementary gifted tudents in the ‘Eulji area’ who had no experience in visiting cultural sites, visiting museums, and viewing cultural arts performances was relatively high.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as a way to suppor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an alienated areas.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facilities in an alienated area, there is a need to develop convergence cultural content for gifted education that enables exchange of cultural activities with gifted classes in other regions, and an online platform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geographic and cultural facilities should be prepared to resolve inequality in gifted students’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an alienated are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