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마근 기능에 따른 위눈꺼풀성형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이용수 15

영문명
The Change of Eyebrow Height According to Frontalis Muscle Function after Upper Lid Blepharoplasty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최신명(Shin-Myeong Choi) 박인기(In Ki Park) 신재호(Jae-Ho Shin)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9, 992~998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마근 기능에 따른 위눈꺼풀성형술 후 눈썹높이의 변화와 눈썹 세 부위의 위치 변화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위눈꺼풀성형술을 시행 받은 45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이마근 기능에 따라 Group 1 (<4 mm), Group 2 (≥4 mm, <8 mm), Group 3 (≥8 mm)와 같이 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술 전과 술 후 3개월 후 각 그룹에 따른 눈썹하강의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눈썹 높이의 변화를 동공, 가쪽 및 안쪽눈구석에서부터 눈썹까지의 길이를 통하여 세 부분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이마근의 기능은 Group 1 (2.11 ± 0.94 mm), Group 2 (6.2 ± 1.24 mm), Group 3 (10.25 ± 1.25 mm)로 측정되었다. Group 2과 3는 눈썹하강의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Group 1에서는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미한 눈썹하강을 보였다(p<0.05). 또한 세 군 모두에서 가쪽 눈썹하강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4). 수술 후 Group 1에서는 3명의 눈썹처짐이 발생하였지만 Group 2와 3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이마근의 기능이 약하거나 이마근과 눈썹의 연결이 약한 부분일수록 수술 후 눈썹의 위치가 더욱 낮아진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위눈꺼풀성형술 전 이마근 기능을 평가하는 것은 수술 후 눈썹높이의 하강 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과한 눈썹하강이 예측되는 환자에서 눈썹교정술을 동시에 시행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 in eyebrow position and three parts of brow according to frontalis muscle (FM) function after upper lid blepharoplasty. Methods: We subdivided 45 patients who had undergone upper eyelid blepharoplasty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FM function: Group 1 (Poor, <4 mm), Group 2 (Good, ≥4 mm and <8 mm), and Group 3 (Excellent, ≥8 mm). Photographs of patients were taken before and three months after surgery. We analyzed brow descent and brow-to-pupil (BPD), brow-to-medial canthus distance (BMCD), brow-to-lateral canthus distance (BLCD) of each group. Results: Mean FM function was measured as follows: Group 1 (2.11 ± 0.94 mm), Group 2 (6.2 ± 1.24 mm), Group 3 (10.25 ± 1.25 m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yebrow height change between Group 2 and 3, but Group 1 showed significant eyebrow height descent compared Group 2 and 3 (p < 0.05). In all three groups, the lateral brow position wa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middle or medial brow position after blepharoplasty (p < 0.04). After blepharoplasty, 3 eyebrow ptosis occurred in Group 1, not in Group 2 and 3. Conclusions: Patients with poor FM function less than 4 mm (Group 1) and BLCD of all group showed significant eyebrow descent after blepharoplasty. Since the weaker FM function and FM connection with eyebrow, the more lowered eyebrow after blepharoplasty, the evaluation of FM function may help predict the lowering of eyebrow height after blepharoplasty and decide whether to perform brow lift at the same time.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신명(Shin-Myeong Choi),박인기(In Ki Park),신재호(Jae-Ho Shin). (2020).이마근 기능에 따른 위눈꺼풀성형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대한안과학회지, 61 (9), 992-998

MLA

최신명(Shin-Myeong Choi),박인기(In Ki Park),신재호(Jae-Ho Shin). "이마근 기능에 따른 위눈꺼풀성형술 후 눈썹 높이의 변화." 대한안과학회지, 61.9(2020): 992-99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