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in out-of-school youth: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 and peer’s attach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아름(Han, Ah-Reu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207~2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학업중단 패널’자료 중 3차년도(2015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총 549명이다. 첫째, 학령기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사회적 낙인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학령후기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에는 사회적 낙인과 부모애착의 주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이후 청소년의 경우, 사회적 낙인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학령기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에는 사회적 낙인과 또래애착의 주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s attachment and peer’s attachment between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among out-out-school youth. Using 3rd data from ‘School Dropout Panel Study’, 549 of out-out-school youth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attachment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for school-aged out-of-school youth. Second, peer attachment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for after-school-aged out-of-school youth. These findings suggest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risk and protective factor to understand out-of-school youth. Also,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provi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