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riting Course and Aesthetic Training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최준호(Choi, Jun H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8권 제6호, 401~4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2000년 이후 대학의 글쓰기 교육이 강화되었다. 그런데 각 대학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교육기간 내에 자신의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스스로 체감하기는 쉽지 않다. 논자는 미학적 훈련의 방법에 따라 글쓰기를 했을 때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이 단기간에 향상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자 했다. 미학적 훈련의 방법은 ‘감정의 미학’에 대한 멘케의 논구를 글쓰기 훈련에 적용한 것이다. 감정을 개념으로 표현하는 것은 늘 불완전한 것일 수밖에 없지만, 글로 소통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구체적인 사건 중심으로 자기만의 언어로 채색해야 한다는 점이 그 핵심이다. 미학적 훈련의 방법에 기초해서 글쓰기를 유도하자 학습자의 글쓰기가 확연하게 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글쓰기가 향상되었다는 사실을 체감하면서 이전보다 소통이 훨씬 더 잘 되는 글을 쓰는 것이 확인되었다는 말이다. 논자는 이 글이 글쓰기 향상을 위한 학습 방법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writing course at universities in Korea has been emphasized since 2000. Nonetheless, it is not easy for learners to feel better about their own writing skills within the given period of educa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so-called aesthetic writing training makes learners shortly feel better about their own writing skills. The training is derived from Christoph Menke’s exhaustive discussion on the aesthetics of feeling. Its point is as follows: anyone has to express his or her feelings through the episodes described with his or her own words, though he or she always does it imperfectly. It is identified that learners’ writing skills are clearly improved after the learners write their essays based on the training. So, I hope that this thesis can stimulate the discussion on the improvement of writing skill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자기성찰적 에세이 작성과 미학적 훈련의 글쓰기
Ⅲ.‘ 미학적 훈련의 글쓰기’의 필요성 - ‘감정을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의 분석을 바탕으로
Ⅳ. 미학적 훈련과 글쓰기의 향상: 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