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riting lesson plans based on fusion research thinking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춘규(Kim, Chun-Gyu)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8권 제6호, 375~4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회화예술 텍스트를 감상하고 이를 활용하여 글쓰기 교육에 연계함으로서 학습자 주도의 능동적인 글쓰기를 유도하고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를 하고자 한다. 필자가 제안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의 글쓰기 능력과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이다. 이 단계를 통하여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안의 개발 필요성과 함께 전개 방법에 대한 상세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둘째,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 모형 연구 및 적용사례를 통해 창의적 글쓰기를 할 때 나올 수 있는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진정 좋은 글쓰기가 무엇인지를 학습하고 다른 이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글쓰기의 안목과 능력을 기르게 된다. 셋째, 많은 학습자들이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 수업 방안을 접한 뒤로 시작 전 보다 월등한 글쓰기 능력을 보여주었다. 더하여 미적 체험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창의력을 증진하는 글쓰기 교육에 대한 회화예술 텍스트의 감상이 어떤 교육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수업 방안의 도입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a discussion on whether the painting art appreciation text and links on writing education by utilizing this lead to the writing of a learner-led and actively promote creativity. I will have more to offer as follows.
First, art is a painting scheme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and confidence of learners through writing using text. Can build a detailed plan for how to deploy with the development needs of the teaching plan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through this step.
Second, professor of art using a text model painting through the study and application examples can complement the shortcomings that may come when the creative writing. In this course students are learning what is truly good writing and develop the insights and skills of writing something that will impress others.
Third, many learners have demonstrated superior writing skills than writing lesson plan facing the back before the start based on the fusion of thinking. In addition to the significance placed party to reveal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viewing art painting text on writing education to promote creativity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ase for having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introduction of new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writing skills based on the fusion of thinking through which this will be possib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동향 및 학습자 분석 단계
Ⅲ. 연구방법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