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academic writing based on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theory of media and the comparison of education model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원만희(Won, Man He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8권 제6호, 307~3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최근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커다란 특징은 그것이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왜 학술적 글쓰기가 비판적 사고에 기반해야 할까? 그 이유는 ‘학문적 의사소통’의 주된 양식으로 글쓰기 과정에서 추상적, 반성적, 분석적, 논리적 사고 성향이 강화되는데 이 성향들은 이른바 ‘비판적 사고’를 형성하는 요소적 사고 성향들이기 때문이다. 이점에서 학술적 글쓰기는 비판적 사고의 과정이면서 동시에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이 내적으로 연결된 비판적 사고력과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 교육 방법은 무엇일까? 필자는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텍스트 독해와 작문 과정(CRW)’을 그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대안이 될 만한 세 가지 CRW 모형들을 제시하고, 이들을 비판적 사고력과 글쓰기 능력의 동시 함양 가능성 그리고 효과적 교육 방법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학술적 글쓰기 방법론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A predominant feature currently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s that it emphasizes its ground on critical thinking. Thus, the relevant question is raised. why should critical thinking be a basis for academic writing?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everal 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get reinforced in academic writing as a form of ‘academic communication’: abstract thinking, reflective thinking, analytic thinking, and logical thinking, which consist in the whole ‘critical thinking.’ In this regard, academic writing is a kind of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simultaneously a consequence from it.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writing and critical thinking leads us to establish several proper models for a method of writing education. It is widely acceptable that a consideration on ‘Critical Reading and Writing(CRW)’ based on critical thinking is a plausible way to develop writing ability. I examine three alternative CRW models as strong candidates and then compare and contrast them in terms of ‘co-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and writing ability’ and ‘an efficient education method.’ Furthermore, I draw my own framework in reference to them so as to be a desirable academic writing methodolog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비판적 사고 기반 학술적 글쓰기의 매체론적 배경
Ⅲ. 세 가지 CRW 모형
Ⅳ. 맺는 말: 학술적 글쓰기 방법의 발전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