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Problem Analysis of Freshman Orientation in Korean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유홍준(Yoo, Hong Joon) 정순현(Jung, Soon Hyun) 장현수(Jang, Hyunsu) 박은영(Park, Eun Young) 신진규(Shin, Jin Gyu) 김선호(Kim, Seon H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1권 제5호, 33~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국내의 각 대학은 매년 신입생 대상 예비대학 및 오리엔테이션을 기획, 운영하여 신입생들이 성공적으로 대학에 적응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신입생 대상 오리엔테이션 및 예비대학 운영에서는 최근 몇 년간 기존 운영방식의 적절성을 묻게 만드는 사회적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여러 가지 개선의 움직임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에서 신입생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적 차원의 진지한 접근이나 제도적 방안 마련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운영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오리엔테이션의 운영 및 참여현황, 오리엔테이션 운영방식, 오리엔테이션 운영 주체를 우선적으로 분석하고 이어 오리엔테이션 전반에 대한 운영 현황과 운영 상 나타난 문제점들을 자세히 검토하였다.
국내 대학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운영을 분석한 결과 주요 문제점으로는 오리엔테이션 운영 주체에 대한 인식 부족, 새로배움터 친교활동에 대한 문제, 오리엔테이션과 새로배움터 통합 현실적 제약, 운영 방법 및 음주 문제, 학사안내의 전문성 부족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학생회와의 새로운 관계설정을 비롯하여 신입생들이 진정 원하는 세부 프로그램 구성, 전문적인 학사안내 등 대학당국의 보다 교육적이고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Each university in Korea plans and runs pre-college and orientation programs for freshmen every year to help new students successfully adapt to college. However, in the orientation of freshmen and the operation of pre-college there have been some social incidents in recent years which have made the appropriateness of the orientation management.
There have been many improvements in this direction, but until now there has been little educational approach or institutional arrangements to support freshmen in the orientation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orientation of freshmen Through the survey and interview,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orientation, its operation method, and the operating subjects, and then reviewed the operational problems of the overall orientation in detail.
Analysis of the orientation of freshmen in Korean universities shows that the major problems ar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main operator, problems with friendship activities by student council, realistic constraints of integrated operations of university authorities and student council, operation methods and drinking problems etc.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 council, to make more detailed educational programs that the freshmen want, and to provide more professional and academic guidance.
목차
1. 서론
2. 연구범위와 방법
3. 이론적 배경
4.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운영현황 분석
5.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