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Vocational Character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College Freshme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나영(Kim Na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263~2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하여 간호대학 신입생을 위한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업인성(Vocational character), 진로정체감(Career identity), 긍정적 사고(Positive thinking), 삶의 만족도(Satisfaction with life)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주 1회(120분), 4회기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었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2019년 5월 14일부터 6월 4일까지 일개 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직업인성 및 직업인성의 하위요인인 자기관리, 개방성, 공감 및 소통, 협업, 시민적 덕성, 공동체 의식의 모든 영역에서의 평균 점수가 프로그램 전에 비해 프로그램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진로정체감, 긍정적 사고, 삶의 만족도 평균 점수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직업인성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 신입생의 직업인성, 진로정체감, 긍정적 사고,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으므로 간호대학에서 학생들의 직업인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vocational character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college freshme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and to valid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vocational character, career identity, positive think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e vocational character training program based on case-based learning,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ovided as a weekly, 120-minute program consisting of 4 sessions. Under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35 nursing college studen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for the period from May 14 to June 4,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After the program was provided, the vocational character, career identity, positive thinking, satisfaction with lif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ocational character training program based on case-based learning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enhance the vocational character, career identity, positive think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nursing college freshmen.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program will be used in developing and applying vocational character training program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