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music performance efficacy on music intrinsic motiva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music-perform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슬기(Kwon Seul Gi) 백고은(Baek Go 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27~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연주전공생들의 연주효능감이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사회비교성향이 두 변인 간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부터 6월까지 두 달에 걸쳐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음악대학에 재학 중인 연주 전공생 300명을 대상으로 연주효능감, 사회비교성향, 내재적 동기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주효능감이 높은 경우 내재적 동기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주효능감이 높은 남학생의 경우 사회비교성향의 수준과 상관없이 내재적 동기를 많이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연주효능감이 낮은 남학생의 경우 사회비교성향이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를 많이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연주효능감이 높은 여학생들은 사회비교성향의 수준이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를 많이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연주효능감이 낮은 여학생의 경우 사회비교성향 수준이 낮아질수록 내재적 동기를 많이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주효능감과 내재적 동기 사이에서 사회비교성향의 역할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usic performance efficacy on music intrinsic motivation, and tested whether the relationship was moderated by differen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music-performance. After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sponses from 300 university students(majoring in Korean/Western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from April to June 2019,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who had high music performance efficacy had more high music intrinsic motivation. Also, male who had high music performance efficacy had high music intrinsic motivation regardless of thei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level. On the other hand the more male who had low music performance efficacy compared with others, the higher they had music intrinsic motivation. Meanwhile, whaeras the more female who had high music performance efficacy compared with others, the higher they had music intrinsic motivation, the less female who had low music performance efficacy compared with others, the higher they had music intrinsic motivation. This illustrates how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music performance the students had can affect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music performance efficacy and music intrinsic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refore, This result implies that educators should pay attention to students’gender, music performance efficacy and the level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performance to promote intrinsic motivation in music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